승진의 역설 – 왜 유능한 사람이 무능해지는가?
승진의 역설 – 왜 유능한 사람이 무능해지는가?
회사에서 일을 잘하는 A씨.
상사의 신뢰를 한 몸에 받으며, 동료들에게도 인정을 받는다.
얼마 지나지 않아 승진 제안을 받는다. A씨는 흔쾌히 수락한다.
그.러.나.
새로운 자리에서 A씨는 예전처럼 빛나지 않는다.
점점 실수도 많아지고, 주변의 기대는 무거운 짐이 된다.
그가 잘했던 것은 '그 자리에 있을 때의 일'이었는데,
이제 그는 완전히 다른 종류의 일을 맡고 있다.
이 이야기는 피터의 원리(Peter Principle)를 그대로 보여줍니다.
피터의 원리란?
1969년, 미국의 교육학자 로렌스 J. 피터는
한 조직에서 각 중역원은 자신의 무능력이 드러나는 단계까지 승진하는 경향이 있다.
라는 주장을 발표합니다.
쉽게 말해, 사람은 유능하면 승진하고,
승진을 거듭하다 결국 무능한 위치에 도달한 채 머물게 된다는 원리입니다.
왜냐하면 조직은 ‘현재 일을 잘하느냐’만으로 다음 직책의 적합성은 고려하지 않고 승진을 결정하기 때문이죠.
이 원리는 왜 중요한가?
- 유능한 직원이 무능력한 관리자가 됩니다.
- 조직 전체가 일 못하는 중간관리자들로 채워집니다.
- 유능한 구성원은 일을 몰아서 하게 되고, 탈진하거나 퇴사합니다.
- 결국, 조직은 정체되고 비효율적인 집단으로 전락합니다.
무능력한 자리에서 오랜 시간 머무는 사람은
- 더 이상 배우려 하지 않고,
- 책임을 회피하며,
- 창의적인 판단을 내리지 못합니다.
그렇다면 해결 방법은?
피터의 원리는 단순한 이론이 아니라,
우리가 현실에서 얼마나 '적재적소'를 무시하고 있는지를 보여줍니다.
'일을 잘한다'는 것과 '관리를 잘한다'는 것은 다르다
개발을 잘하는 사람에게 팀장을 맡기면,
그는 코딩을 못하고 회의와 일정 조율에 허덕일 수 있습니다.
→ 전문성과 리더십은 별개의 역량입니다.
→ 역할에 따른 역량 분석이 필요합니다.
승진이 유일한 성장 모델이 아니다
모든 사람에게 '승진'만이 능사는 아닙니다.
성과급, 직무 전문가 트랙, 프로젝트 리더 등
다양한 성장 경로가 조직에 필요합니다.
자신의 한계를 파악하고 '거절할 용기'도 필요하다
‘기회가 왔는데 왜 안 받아?’라는 말은 때로는 독이 됩니다.
자신의 강점이 무엇인지, 어떤 자리가 더 가치 있는지를 따져야 합니다.
마치며: '진짜 유능한 사람'이란?
피터의 원리는 우리에게 질문을 던집니다.
"당신은 정말로, 당신이 맡고 싶은 그 자리에 맞는 사람입니까?”
그리고 또 하나,
"당신이 일하고 있는 자리는, 당신의 능력을 발휘하기에 최적의 자리입니까?”
성장은 단순히 ‘위로’만 향해야 하는 것이 아닙니다.
진짜 유능한 사람은,
자신이 빛날 수 있는 자리를 찾고,
그곳에서 지속적으로 영향력을 발휘할 줄 아는 사람입니다.
한 줌의 바람, 한 잎의 여유가 함께하길. 🍃🌼
- 청천의 에코센스라이프에서
댓글
댓글 쓰기